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AI 리터러시(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1. 리터러시란?리터러시 (Literacy)는 기본적으로 읽고 쓰는 능력을 말하는데요, 요즘 시대에는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리터러시는 문해력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리터러시는 뉴스를 읽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디지털 리터러시"는컴퓨터와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2.  AI 리터러시 (Literacy)란AI 리터러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아는 능력을 말합니다. 나는 인공지능 개발과 같은 일을 하지 않을 건데,  AI 리터러시는 필요없는 거 아니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우리의 일상뿐 아니라 직업 세계.. 2025. 1. 21.
사용 빈도, 정확도 기준 생성형 AI 플랫폼 순위 ( ChatGPT,Gemini,Perplexity, Claude 등)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챗GPT는 대형 언어 모델 (LLMS)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자유롭게 주고받는 일종의 챗봇 프로그램입니다. Chat GPT 이전에도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Chat GPT는 대량의 언어 학습과 딥러닝 기술 등을 접목함으로써 말의 앞뒤 문맥을 파악하고 이전 대화를 기억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챗GPT와 대화하면서 받았던 것입니다.이런 생성형 AI에는 챗GPT말고도 많은 플랫폼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몇 가지 주요 플랫폼들의 소개 및 순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가장 많이 사용된 생성형 AI 플랫폼 순위 (2024년 4월 기준)• 챗GPT (ChatGPT): 오픈AI의 챗봇으로,.. 2025. 1. 10.
그래프이론(Graph Theory)과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이번시간에는 그래프이론(Graph Theory)과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의 주요 개념과 활용사례 등에 대해서 학습해 보자.  1.  그래프 이론(Graph Theory)1)  기본 개념그래프 이론은 객체 간의 네트워크 구조와 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정점의 집합과 간선의 집합으로 구성된 그래프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로, 정점(노드)들이 엣지(링크)로 연결된 추상적인 표현을 다룹니다. 그래프 이론은 방향 그래프, 비방향 그래프, 가중치 그래프, 비가중치 그래프 등 다양한 종류의 그래프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며, 다양한 관계와 연결성을 모델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어 왔으며, 연결성, 순환, 경로, 그래프 색칠과 .. 2025. 1. 9.
머신러닝 (Machin Learning)에서의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vs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 오늘은 기계학습 머신러닝 (Machin Learning)에서의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vs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에 대해서 학습해 보자.  1.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1) 개요 지도학습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머신 러닝 방법 중 하나로 라벨(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법으로, 입력 데이터(Feature)와 출력 데이터(Label) 간의 관계를 학습한 뒤,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해 출력을 예측합니다.각 입력 벡터를 유한한 개수의 이산적 범주 중 하나에 할당하는 문제는 분류 문제라고 한다.원하는 출력이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변수로 구성될 경우, 이 작업을 회귀라고 한다.목표는 X와 y 쌍으로 이루어.. 2025. 1. 6.
주가 300% 상승 팔란티어 & 팔란티어 핵심 Solution 파운드리(Foundry) 2024년 주가 300% 상승!! 가장 핫한 회사인 팔란티어와 팔란티어 핵심 Solution인 파운드리(Foundry)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 팔란티어(Palantir) 개요1)  설립 배경팔란티어는 2003년 미국에서 피터 틸(Peter Thiel), 알렉스 카프(Alex Karp), 스티븐 코헨(Stephen Cohen), 조 론스데일(Joe Lonsdale) 등이 공동 창업한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초기에는 CIA 산하 벤처 투자 기관인 In-Q-Tel의 투자를 유치하여, 주로 미국 정부 및 군·첩보 기관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제공하며 주목받았습니다. 2)  회사 이름 유래“팔란티어(Palantir)”라는 이름은 J.R.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먼 곳을 볼 수 .. 2025. 1. 5.
인공지능 기초 및 Neural Networks (2탄)- Multilayer Perceptron (다층퍼셉트론) 2025.01.02 - [분류 전체 보기] - 인공지능 기초 및 Neural Networks (1탄) 인공지능 기초 및 Neural Networks (1탄)1.Biological Neurons(생물학적 뉴런)에서 인공 뉴런으로Biological Neurons 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뇌와 척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iological Neurons 은 인공 신it.improvement.co.kr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Multilayer Perceptron (다층퍼셉트론)에 대해서 학습해 보자. 3. Multilayer Perceptron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는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 2025. 1. 3.